3주: 행복(happiness)
1. 행복의 두 관점
주관적 안녕감
- 그리스 철학의 쾌락주의 기반
- 특성: 쾌락주의적 > 즐거움(pleasure)
- 삶의 목표: 즐거움과 만족, 즉 행복을 느끼는 것
- 핵심요소: 긍정정서
- 'Don't worry, Be happy' > 긍정정서를 많이 느끼고 부정정서를 느끼지 않는 것
- 요소: 삶의 만족도+긍정정서-부정정서
긍정·부정정서(PANAS 척도)
- 참조기간에 따라 빈도와 강도가 달라짐, 강도보다 빈도가 중요함
- 긍정/부정정서가 완전히 반대의 개념은 아님, 공존하는 개념
-삶의 만족도와 긍정·부정정서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
- 감정은 변동성이 높아 최근 얼굴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정서를 측정하기도 함
- 감정변화로 인한 측정오차(절정-대미규칙)를 해결하기 위해 경험표집법을 개발
긍정정서의 확장 및 구축이론
[긍정정서] > [확장] > [구축] > 변화
긍정정서로 생각과 행동이 확장되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자원을 구축하고 개인적 성장을 촉직하고 긍정적인 감성을 생성
심리적 안녕감
- 고대 스토아 철학 기반
○ 행복한 삶은 쾌락을 넘어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는 것
○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여 자아실현과 의미있는 삶을 추구
- 특성: 자기실현적
- 삶의 목표: 자기실현
- Fully functioning person(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칼 로저스) >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여 뿌듯함을 느끼는 것
- 구성요소: 자기수용, 자율성, 개인적 성장, 환경통제력, 긍정적 관계, 삶의 목적 > 역경을 극복하는 역할
요소 | 개념 |
자기수용 | - 자신에 대한 긍정적 태도 - 자신의 다양한 측면을 인정하고 수용 - 사회적 시선에 대한 민감성이 낮은 성향으로 변화 |
자율성 | - 자신의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며 내적으로 행동조절 -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스스로 선택할 때 동기와 자신감이 증진 |
개인적 성장 | - 새로운 경험에 개방적이며 경험을 통해 자신을 확장 -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항상성을 초월 - 잠재력을 실현하며 효과성을 발휘 |
환경 통제력 | - 환경을 관리하는 능력이 뛰어남 - 개인의 필요와 가치에 적합한 상황을 선택 |
긍정적 관계 | -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성장 > 타인과 만족스럽고 신뢰 높은 관계 형성 - 관계에서 공감, 애정, 친민감을 느낌 |
삶의 목적 | - 인생의 목표와 방향성을 가지고 있음 - 삶의 목적에 부합하는 삶 추구 |
- 심리적 안녕감 측정방법
내가 추구하는 행복은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 중 어느 쪽에 가까운지 생각해봅시다.
나는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성장하고, 내가 세운 목표에 가까워질 때 행복을 느낀다.
그리고 현재에 머물러 있기 보다 좀 더 많은 것을 알고 다양한 일을 하고 싶어서 여러 분야를 공부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기수용성, 자율성, 개인적인 성장, 삶의 목적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하루 루틴을 설계하고 내가 스트레스 받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단순히 일시적으로 즐거운 감정으로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바라는 이상적인 모습에 가까워질 때
만족감을 느끼고 있어서 심리적 안녕감을 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