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yday, Challenge

2025/08/13 2

[KMOOC]2주차_1. 생성형 AI가 촉발하는 혁신-변화, 혁신, 생태계

최근 AI는 무서울 정도로 업데이트되어 점점 인간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으며, 글, 이미지, 영상, PPT 등 창작에 특화되어 실무 영역에서도 AI를 활용한 사례가 많아졌다. 생성형 AI의 개념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해야 바람직할지, 각 산업분야에서 어떻게 AI를 활용할 수 있을지 강의를 통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1. AI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 관한 출판물은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으며, AI에 의한 경제성장률은 2030년까지 미국 8500조원, 한국 460조원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에 의해 노동의 새로운 패턴이 생기고, AI를 도입한 기업의 생산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AI 도입이 무조건적으로 좋다고는 볼 수 없다. 혁신을 위..

[KMOOC]3주차 행복_1. 행복의 두 관점

3주: 행복(happiness) 1. 행복의 두 관점주관적 안녕감 그리스 철학의 쾌락주의 기반특성: 쾌락주의적 > 즐거움(pleasure)삶의 목표: 즐거움과 만족, 즉 행복을 느끼는 것핵심요소: 긍정정서'Don't worry, Be happy' > 긍정정서를 많이 느끼고 부정정서를 느끼지 않는 것요소: 삶의 만족도+긍정정서-부정정서긍정·부정정서(PANAS 척도)- 참조기간에 따라 빈도와 강도가 달라짐, 강도보다 빈도가 중요함- 긍정/부정정서가 완전히 반대의 개념은 아님, 공존하는 개념-삶의 만족도와 긍정·부정정서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 감정은 변동성이 높아 최근 얼굴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정서를 측정하기도 함- 감정변화로 인한 측정오차(절정-대미규칙)를 해결하기 위해 경험표집법을 개발 긍정정서의 확..